생애주기별의료적관리 1 페이지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뇌성마비

생애주기별의료적관리

 

영유아기

영유아기 1

영역 문제점 의료적 관리
원인질환감별 대사성 질환
기타 유전성 질환
간질성 질환
선천성 뇌기형
뇌 MRI
대사이상 검사
염색체 검사
기타 유전학적 검사
성장영양섭식 느린 체중증가나 성장부진
구강 운동 기능 문제
위식도 역류
위루술(PEG tube)관리
소아과 : 위식도 역류 관리
영양과 : 영양상담
재활의학과 : 연하 조영검사, 연하장애 작업치료
소아외과 : 위루술 실시
장애심화예방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서 나온 영아(고위험군) 관리 조기 재활 치료
집중적인 감각자극 프로그램
(보바스, 감각운동, 감각통합치료적 접근)
동반질환관리 청각, 시각의 문제
간질
호흡문제, 흡인
변비
이비인후과, 안과 검진
소아신경과 : 뇌파검사, 약물
재활의학과 : 식사관리, 호흡재활, 음식조절, 약물, 마사지
재활관련 조기 재활이 중요
이 단계의 목표 :부모교육
- 질환 및 재활관련 정보
- 아동 케어 방법
가정에서 필요한 바른 자세, 운동, 안는 방법 등 교육을 통한 감각, 운동발달 도모.
부모-장애자녀 관계 도움
부모교육(자세, 이동, 헨들링, 가정운동)

영유아기 2(유소아기)

영역 문제점 의료적 관리
치아문제 충치(충치유병률69%(대조군44%))
부정교합
정기적 관리31%
소아치과 정기적 관리
턱 관절 운동, 자세 유지, 부정교합 예방을 위한 보조기 등
심리적 발달 건강한 신체상 발달 신체에 대한 자각
내면의 정신적 경험
주위 사람들과의 관계
교육 관련 어린이집, 유치원 전환준비 인지발달, 사회성발달 촉진
자기관리 연습
재활 관련 발달과제- 앉기 매우 중요
- 손 기능 발달
- 의사소통기술 발달
시각적 집중, 상지 사용기회
사회적 상호작용 발달
앉는 것에 대한 거부 줄이기
소근육 운동훈련
언어치료 및 가정언어지도
보조기 및 재활장비 보조기 필요 여부
첫 번째 휠체어 처방
경직이 있는 발목(발목관절보조기 등)
유모차형 휠체어
스탠더 이용

영유아기 3(학령전기)

영역 문제점 의료적 관리
외과적 치료 과긴장, 경직을 위한 외과적 치료접근 고려 SPR(선택적 후근절제술) 정형외과 수술 등
가정지도 자기관리/독립적 일상생활 배뇨, 배변 훈련
일상생활 훈련
교육관련 인지발달 관찰
유치원 입학 전 평가 실시
학교 선정의 문제
지능검사 기타 심리평가
특수학교 or 통합교육
보조기 및
특수장비
이동성 확보
의사소통 향상
쓰기 작업 훈련
자세보조기구, 일상생활
보조기구 관련 정보
전동-구동 휠체어
보완대체의사소통 기구
컴퓨터 연습
개인적인 자세보조기구 구입(배변훈련기, 이너, 특수의자 등)
경직관리 적극적인 경직 관리
-운동발달, 근육단축 및 관절구축 방지, 근육 성장 위해
보툴리눔 독소 주 또는 알코올 등을 이용한 운동차단술
 

학령기

영역 문제점 의료적 관리
학습행동 학습장애
지적장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세부평가 필요
언어성지능/동작성지능
학교 교사와의 협력, 약물치료, 뉴로피드백 치료
사회적 기술 사회적 경쟁 촉진
오락, 레저 활동
사회적 기술 프로그램 참여
학교와 지역사회에서 또래그룹 활동
(멘토링 프로그램 등)
지역사회 스포츠 활동 참여
재활관련 *발달관심 측면의 이동
- 운동→인지발달
주요 활동 공간의 변화
- 가정, 병원→학교
*재활목표
운동능력 증진(이동, 스포츠)
인지발달지연
작업치료
의사소통 증진
운동기능 기술 훈련
크럿치 사용훈련
지역사회 스포츠 참여(승마, 수영, 댄싱, 소프트볼, 자전거 등)
보행훈련에 지속 집중
기능적 쓰기, 도구 활용 훈련
대체의사소통 기구 활용
삶의 질 신체발달과 관련된 위기감
신체적 삶의 질 ≺≺ 심리사회적 삶의 질
심리 사회적 역할과 참여가 중요
이동성 측면 1)조금 걸을 수 있는 아동
2)운동보행 가능한 수준
3)보행 불가능 수준
1)휠체어를 통해 이동
- 워커를 이용한 보행 유지
- 인지기능이 낮은 아동의 경우, 작은 바퀴, 휠체어 잠금
- 설 때를 위해 발판이 젖혀지고 팔걸이 분리가 가능한 것
- 자세보조기구(이너), 부착물
2)상지 기능에 따라 휠체어 바퀴 크기 결정
3)완전히 지지 가능한 휠체어
 

청소년기

청소년기 1

영역 문제점 관리
핵심과제 독립성, 심리적 건강함 또래와의 사회적 상호작용 및 참여 중요(여름캠프 등)
청소년 여가 프로그램의 개발
가정-학교-병원 협력 네트워크 구축
이동성 측면 *실내 이동, 실외 이동
지역사회 내 장거리 이동
1)조금 걸을 수 있는 경우
2)운동보행 가능한 수준
3)보행 불가능 수준
*지역사회 내 효율적 이동 초점
1)거리 보행이나 이동의 필요를 위해 일반형 휠체어 소지
- 상지기능 제한된 경우 전동휠체어 사용
- 부분적으로 크럿치 사용
2)전동 휠체어 적극 권장
3)전체적으로 서포트 해야 하는 휠체어
(머리받침대, 상판 포함)
- 척추나 사지의 변형을 고려하고, 수술 여부를 고려한 선택
재활관련 *독립적 생활의 위해
*무엇을 보조해야 할지 평가
1)인지 기증이 좋은 인지기능
- 치료 : 인지훈련, 일상생활 사용 가능한 동작 훈련
- 독립성 증진을 위한 훈련, 자가 스트레칭 배우기
2)인지 기능이 제한된 아동
- 작업치료 : 독립적 생활훈련
(옷 입고 벗기, 목욕, 식사준비)
3)경직 및 변형 관리
*독립생활기술 프로그램
사회적 기술훈련 프로그램
1)인지훈련에 초점
- 재활치료 경우 명확한 목표 설정 & 훈련
- 치료 위해 수업을 절대로 빠지지 말 것
- 장기적인 운동기능 수준을 알려 주고 독립성 계획수립이 중요
2)지속적으로 운동학습에 초점
3)급격한 변형 진행 예방 및 손기능 증진 목적
- 관절 구축의 예방 및 관리
(하지의 굴곡구축, 척추측만)
- 자세관리

청소년기 2(청년기)

영역 문제점 관리
핵심과제 - 자신의 정체성 확립
- 부모로부터의 독립
- 가족 외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
- 직업을 찾는 것
사회적 고립을 감소시키고 사횢거 경험의 증가 스스로 할 수 있는 능력을!
이동성 *시지각, 인지기능 평가 *운전훈련
심리사회적측면 - 미성숙한 행동을 보일 가능
- 또래집단과의 경험의 부족
- 그들의 행동에 대한 또래집단의 피드백의 기회 부족
- Role model을 찾기 어려움
- 낮아지는 자존감의 문제
- 연령에 적합한 방법의 치료
- 멘토링 시스템 개발 -자존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 :
신체상에 대한 자기 인식, 부모 또는 가족과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등
재활관련 시직각, 인지기능 평가 및 훈련
1)인기기능이 좋은 경우
2)인지기능이 제한된 경우
운전 준비 및 훈련
직업훈련
*다각적인 작업치료, 그룹 수중치료 등을 권함
1)특별한 훈련 목적이 있는 경우
- 물리치료 지속
- 스스로 운동 배우기
2)가족에게 신체활동을 관련, 스트레칭에 대한 교육
건강관리 건강 생활양식 교육
성인 의료서비스로의 전환
- 년 1회 건강 검진
- 운동(컨디셔닝 운동)
- 체중조절
미래준비 직업계획과 고등교육 가정 이루는 것 - 직업재활
- 성에 대한 교육
 

성인기 & 노년기

영역 문제점 관리
건강 관리 *주요과제 : 건강관리 및 다양한 합병증 관리
(Bax1998, 김 등2000)
- 척추변형(척추측만증이나 후만증 등)29%
- 하지관절 구축 71%
- 피부질환 31%
- 비뇨기계 문제 52%
- 언어장애 60%
- 위장관 질환 48.9%
- 두통 34%
- 치아우식증 53.1%, 치아결손 25.5%,
부정교합 6.3%
- 통증 및 근골격계 합병증 78.7%
(어깨통증>요통, 하지관절구축>목통증)
- 영양상태 : 평균열량, 칼슘, 철분, 섬유소 섭취 권장량 이하
- 장 기능 : 주 3회 미만 배변 22%
-호흡곤란 문제
*성인 뇌성마비의 59%에서 의학적 중재가 필요한 건강상의 문제
*자신의 발병 가능한 합병증에 대한 교육 등을 통해 자가 관리 능력 증대와 주기적 관리 요함
- 척추변형 : 앉기 자세 보조, 휠체어 내 자세보조기구 장착
- 적극적인 통증관리 : 통증을 키우지 말라!
- 골다공증의 조기발견 & 치료 : 키우면 큰 병!
- 불수의운동형 : 기능변화 시 적극적인 검사 및 치료시행
- 의료적으로 전문화되고 접근도(의사소통 문제 포함)를 높일 수 있는 의료적, 사회적 지원 절실(권역별재활병원, 국립재활병원 등)
- 균형적인 식사가 매우 중요
- 배변관리 : 적당한 운동, 수분, 맛사지, 섬유소 섭취 등
- 호흡재활 및 호흡기내과 관리
이동성 *보행 : 효율적 보행의 어려움, 일반성인 보행 속도의 74%.
- 에너지 소모량은 현저히 증가
효율적 이동 방법 도모
속도, 안정성, 편리함, 운동적 측면 고려
가정 *성기능 저하
_ 운동기능 및 언어장애로 이성교제나 성관계에 영향
- 성 지식 낮고 보수주의적 경향
- 남성 및 미혼의 경우 심리적 장애 포함한 성기능 장애 증가
- 적극적인 성 교육 및 환경 필요
정신적 정신건강 : 62%우울 증상, 직업 유무, 건강인식도, 장애정도가 영향을 미침. - 적극적인 의료적 사회적 교육
건강관리 건강 생활양식 교육
성인 의료서비스로의 전환
- 년 1회 건강 검진
- 운동(컨디셔닝 운동)
- 체중조절

(* 출처 : 이지선, 20주년 기념 의료재활세미나, 서울뇌성마비복지관(2010))